객체지향 설계를 기반으로 윤년 및 날짜 유효성 처리 기능 개발
·
JS/react
1. 구현 목표목표 기능 : 사용자가 년,월,일 데이터를 초기 입력 후 수정 가능 하도록하고 아래 조건들에 따라 입력 또는 수정한 년,월,일 데이터를 처리하여 화면에 띄워주는 기능 조건 1 . 년 데이터가 음수거나 0이면 1년으로 처리조건 2-1 . 월 데이터가 음수거나 0이면 1월로 처리조건 2-2 . 월이 13월 이상으로 입력되면 12월로 처리 조건 3-1 .일 데이터가 음수거나 0이면 1월로 처리조건 3-2 . 일이 입력된 월의 최대일을 벗어나면 입력된 월의 최대 일로 처리EX) 1월로 입력됐을때 1월 최대일은 31일이기 때문에 32일로 입력하면 31일로 처리조건 3-3 . 입력된 년이 윤년일 경우에는 2월은 29일까지 처리 가능하도록 하기 2. 개발 2-1. 입력된 년/월/일 값을 하나의 객체..
json-server 툴을 사용한 mock-server 구축 및 AJAX 통신으로 로그인 예제 개발
·
JS/node.js
예제 목표1. 로그인 관련 API의 유저 데이터가 들어 있는 user.json 파일 생성 후 서버 실행2. 로그인 페이지 생성 후 로그인 했을때 user.json 파일을 타겟으로 api요청 후 가져온 user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인증 개발 process1. 아이디 틀렸을시 "id fail"alert창 띄우기2. 비밀번호 틀렸을시 "pw fail" alert창 띄우기3. 로그인 성공시 "login success" alert창 띄우기 목표 1. 로그인 관련 API의 유저 데이터가 들어 있는 user.json 파일 생성 후 서버 실행 1.1 user.json 생성123456{ "user":[ {"id":"kdy9120","pw":"kdy9416"}, {"id":"test12..
[Spring Boot] REST-API 공통 에러(Exception) 처리 개발 과정
·
Spring Framework
https://kdyspring.tistory.com/44 [Spring Boot] REST-API 공통 응답(Response) 포맷 개발 과정 CRUD를 구현할때 R(Read)을 제외한 API들의 Response 값을 공통으로 클라이언트에 리턴해주는 기능을 개발했던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esponse 값을 공통으로 리턴 시 얻게 되는 장점 - GET 요청 API kdyspring.tistory.com 이전 글에 이어서 System Exception 또는 Custom Exception 에러 발생 시 공통 Response 값에 에러 데이터들(에러 코드, 에러 메시지)을 객체에 담아서 공통으로 에러 데이터를 리턴해주는 기능을 개발한 과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System Excepti..
[Spring Boot] REST-API 공통 Response 값 포맷 개발 과정
·
Spring Framework
CRUD를 구현할때 R(Read)을 제외한 API들의 Response 값을 공통으로 포맷하여 프론트에 리턴해주는 기능을 개발했던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esponse 값을 공통으로 포맷하여 리턴해줄 때 얻게 되는 장점 - GET 요청 API를 제외한 모든 API들의 Response 값이 동일하기 때문에 백엔드와 프론트 둘 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좋습니다. - 프론트 입장에서 공통 Response 값을 보고 편리하게 응답 상태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Response 값 CASE 정리 CASE 1. 정상 (status = success) ex) CASE 2. 실패 (status = fail) ex) CASE 3. 에러 (status = error) 3. 공통 Response값에 사용될 ApiR..
Spring Boot CORS 해결하는 법(ngrok CORS도 해결)
·
Spring Framework Error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Spring Boot 서버에 접근했을 때 아래와 같이 CORS가 발생했을 때 해결 방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Ngrok 툴을 사용하여 터널을 여는 식으로 통신하신 분들이 생긴 CORS도 같이 해결 방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일반적인 CORS 해결 방법 입니다.1. 아래와 같이 Controller클래스 위측에 @CrossOrigin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여 외부 클라이언트에 모든 접근을 허용해 줍니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RestController@RequestMapping("/login")@CrossOrigin(origins = "*", allowedHeaders = "*")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JSP 파일 생성 후 첫 시작 <%@ 부분에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란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
Spring Framework Error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JSP 파일을 생성하자마자 Add Library 순으로 선택합니다. 3. Server Runtime을 선택하고 Next를 선택해줍니다. 4. 자신의 사용하는 톰캣 서버를 선택한 뒤 Finish를 눌러줍니다. 5. 톰캣 서버가 정상적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한 뒤 Apply and Close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클립스(Eclipse)와 깃허브(Github) 연동하는법
·
Git
이클립스(Eclipse) 툴을 쓰시는 분들이시라면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이클립스 프로젝트와 자신의 깃허브(Github) 저장소(Repository)를 연동시키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본인의 계정으로 Github에 접속한뒤 Repository 우측에 New버튼을 선택합니다. 2. Repository이름을 적은 뒤 Create repository 버튼을 선택합니다. 3. 그러면 이런 창이 뜨게되는데 칸 안에있는 주소를 복사한 뒤 Eclipse를 켜줍니다(이 복사한 주소는 8번째 단계에서 쓰이게 됩니다). 4. 본인이 방금 생성한 Github Repository에 저장하고 싶은 Project를 우클릭 한 뒤 Team -> Share Project 순으로 선택해줍니다. 5. Create버튼..
Maximum upload size exceed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The field pimage exceeds its maximum permitted size of 1048576 bytes 오류가 발생하였을때의 해결 방법
·
Spring Framework Error
Maximum upload size exceed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org.apache.tomcat.util.http.fileupload.impl.FileSizeLimitExceededException: The field pimage exceeds its maximum permitted size of 1048576 bytes 위 오류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넘어온 파일을 저장 할려고 할때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최대용량을 설정해주지 않아 default값( 1048576 bytes)으로 설정이 돼서 저장할려고 하는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1048576 bytes를 넘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이 applicatio..
Oracle DB 연결 과정중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오류가 발생하였을때.
·
Spring Framework Error
IO 오류: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mybatis로 Oracle db연결을 하여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해결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Window 키를 누른 후 서비스를 검색한 뒤 클릭 2. 이름에 Oracle이 붙어있는 서비스중에 실행중이 아닌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마우스 우클릭 후 시작을 눌러 모두 실행중인 상태가 되도록 해줍니다.
Starting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 has encountered a problem 또는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같은 톰캣 서버 충돌 오류 발생 시
·
Spring Framework Error
톰캣 서버를 실행하였는데 아래 사진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거나 스프링 서버를 실행하였는데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오류가 발생하였을때의 해결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톰캣 서버를 더블 클릭 한 후 포트 넘버를 확인해줍니다. 2. cmd창을 켜주고 netstat -a -o 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3. 그러면 이런식으로 현재 컴퓨터에서 사용중인 프로세스들이 나오는데 이 중에서 로컬주소가 방금 확인한 톰캣 서버 포트넘버와 겹치는게 있는지 확인한 후 그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하여 줍니다. 4. PID를 확인하였다면 충돌을 방지하기위해 강제종료 해주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PID가 28536 이라면 cmd창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